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책읽어주는남자
- 비즈니스 책추천
- 심리학으로팔아라
- 성공도서
- 책리뷰
- 책감상평
- 책추천
- 후쿠마라마사히로
- 하버드의생각수업
- 책소개
- 도서추천
- 책읽기
- 엘리자베스쿼블러로스
- 북리딩
- 책속문장
- 책글귀
- 동네책방
- 책읽는남자
- 자기개발도서
- 독서
- 습관부터바꿔라
- 책독후감
- 책속한문장
- 책후기
- 모델 책추천
- 북추천
- 책서평
- 책속의한줄
- 책읽어드립니다
- 책읽읍시다
- Today
- Total
black_kunta' 책이야기
「몰입 (인생을 바꾸는 자기 혁명) 」- 황농문 (黃農文) 본문

한가지 일에 빠지면 깊게 들어가야하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
특히나 관심분야에 매칭이 되면 몰입을 하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
어느날 초저녁에 잠이 들어 새벽녁에 잠을 깨었는데....
풀리지 않았던 기획의 한부분이 문득 아이디어가 떠올라서 해결한 적이 있었다.
그때는 우연히 문제가 해결이 되었다 생각했지만,
지금와서 돌이켜보면 결국에는 몰입의 결과가 아니었는가 하는 생각이 든다.
또다른 문제가 직면했을때 몰입의 시작과 과정, 그리고 결과를 과학적으로 도출하고 싶었다
그래서 이 몰입이라는 책을 Pick한 이유이다.
작가 소개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금속공학과를 졸업하고, KAIST에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선임 및 책임연구원, 미국 국립표준기술원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과 일본 금속재료연구소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Metals)의 객원연구원으로 근무했고 현재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는 절정의 몰입상태에서 수행한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몰입적 사고를 통해 두뇌를 최대로 활용할 수 있으며 그것이야말로 최고의 인생을 살 수 있는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실제로 그는 몰입적 사고를 통하여 50년 이상 아무도 풀지 못한 난제들을 해결하였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능력을 100퍼센트 활용하고 있다는 만족감과 지극한 행복감을 느꼈다.
그리고 한 걸음 더 나아가 미래에 대한 불안과 우울을 고질병처럼 안고 사는 현대인들에게 ‘인생을 바꾸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가르쳐주기 위해 첫 번째 책 《몰입》과 두 번째 책 《몰입, 두 번째 이야기》를 펴냈다. 세 번째 책 《공부하는 힘》에서는 살아가면서 만나게 되는 크고 작은 도전에 몰입을 실천함으로써 경쟁력을 키우고, 행복과 자아실현을 모두 성취할 수 있는 궁극의 학습법을 소개했다. 네 번재 책《저절로 몸에 새겨지는 몰입 영어》는 황농문 교수의 ‘몰입’을 영어에 적용한 첫 영어 학습 이야기로, 암묵기억의 효과를 극대화해 몰입도를 올리는 가장 효과적인 영어 학습법을 소개한다.
Chapter 1

■ 아직까지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것은 능력 부족일지는 몰라도 노력을 게을리 한 탓은 아니다. 이번 경험을 통해 한 가지 배운 것은 최선을 다하면 실패해도 아쉽거나 후회스럽지 않다는 점이다. 무수한 실패도 문제해결을 위한 과정이라고 생각하게 된다. 문제의 해답과 조금씩 거리를 좁혀가는 것에 더 큰 의미를 두는 것이다.
Chapter 2

■ 세상을 바꾼 천재들의 생각법 : 천재와 보통 사람의 지적 능력 차이가 질보다 양의 문제라면 천재들의 위대한 업적은 순전히 주어진 문제를 풀기 위한 그들의 노력에 의해 얻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천재들은 극도의 몰입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남다른 열정의 소유자였던 것이다.
■ 자유롭고 자연스러운 흐름, 몰입 : 삶이 고조되는 순간, 마치 자유롭게 하늘을 날아가는 듯한 느낌이거나 물 흐르는 것처럼 편안하고 자연스럽게 행동이 나오는 상태에서 몰입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몰입에 의하여 일과 놀이가 하나로 어우러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건강한 삶이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 ‘순간’이 아니라 ‘오래’ 몰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 몰입을 쉽게 하기 위해서는 첫째, 목표가 명확해야 하고 둘째, 일의 난이도가 적절하고 셋째, 결과의 피드백이 빨라야 한다고 했다. 몰입은 지극이 이상적인 상태이지만, 그 과정이 그리 복잡하지는 않다. 방법과 요령, 주의점만 알면 단기간의 훈련을 통해서도 얼마든지 몰입에 이룰 수 있다. 하지만 몰입이 인생에 미치는 의미와 효과는 엄청나다.
■ 지금 하는 일이 당신에게 가장 ‘중요한’ 일이다 : 각 분야의 정상에 있는 사람은 자신의 잠재력을 어느 정도 발굴해낸 사람들이다. 문제는 이런 잠재력이 절대 저절로 발휘되는 게 아니라는 것이다. 잠재력을 끄집어내는 과정은 고통스럽지만, 한계를 뛰어넘어 잠재력의 발현을 경험하는 것은 살면서 느낄 수 있는 몇 안 되는 소중한 순간일 것이다.
■ Work Hard에서 Think Hard의 패러다임으로 : “지극히 현실에 순응하는 삶을 살면 그 순간은 편할지 모르지만 인생을 정리하는 단계에서는 후회를 하게 된다. 현실적인 어려움과 능력의 한계에 부딪 하더라도 정말 중요한 문제, 그리고 꼭 해결해야 하는 주제를 선택해 최선을 다해 연구하면 후회가 없을 것이다.”
Chapter 3

■ 문제를 설정하라 : 몰입에 들어가기 위해 생각을 한 곳에 집중하려면 명확한 목표가 있어야 한다. 먼저 자신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설정한다. 문제가 명확해야 집중하기가 쉽다. 문제를 설정할 때는 미해결된 문제 중에서 중요하고 핵심이 되는 것을 택한다. 난이도는 높지만 대단히 중요해서 그것을 푸는 것이 의미가 있어야 한다. 그 문제가 절실하게 느껴질수록 유리하다. 또 해결해야 하는 기간을 정해두는 것도 절실함을 자극하는 데 도움이 된다.
■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의 확보 : 몰입을 제대로 체험하기 위해서는 몰입을 위한 기간이 적어도 일주일 이상은 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격적으로 몰입을 시도하려고 하는 사람은 일주일 이상 한 가지 문제에 집중할 수 있도록 주변 상황을 정리해두어야 한다.
■ 불필요한 외부 정보의 차단 : 몰입 상태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신문이나 TV 시청 등 외부 정보가 자신의 노예 입력되는 것을 가능하면 차단해야 한다.
■ 혼자만의 공간 선정 : 몰입을 위해서는 직장이나 집에서 멀리 떨어진 한적한 장소를 택하는 것이 유리하며 반드시 조용하고 방해받지 않는 독방이나 혼자만의 공간이 있어야 한다.
■ 완전한 몰입에 들어가는 3일간의 과정 : 제1일: 잡념을 털어내고 자세를 만든다, 제2일 : 아이디어가 움직이기 시작한다, 제3일 : 생각하는 재미가 솟구친다. 몰입 상태에 도달한 이후에는 조금만 집중력을 높여도 최대의 집중 상태를 경험하게 된다. 이 정도 수준에 이르면 다른 집념이 완전히 사라지고 오로지 그 문제만 생각하게 된다. 그리고 문제를 생각하는 것만으로도 쾌감을 느낀다. 잠시 생각이 흐트러지다가도 금세 주어진 문제로 돌아온다. 생각의 흐름이 그 문제에 고정된 것이다.
■ 천천히 생각하기의 중요성 : 내가 추천하는 것은 Slow Thinking, 즉 천천히 생각하기이다. 천천히 생각하기는 명상에 가까운 행위이다. 온몸에 힘을 빼고 목을 뒤로 기대고 편안하게 앉아 명상을 하듯이 마음을 차분히 가라앉힌 다음, 자신이 고민하는 문제를 아주 천천히 생각한다. 자율적으로 몰입도를 올리기 위해서는 천천히 생각하기가 가장 효과적이다.
■ 몰입 상태에서의 문제 해결력 : 몰입 상태에 들어가면 이때부터 주어진 문제에 대한 유용한 아이디어가 떠오르기 시작한다. 평소에는 쉽게 떠오르지 않는 기발한 생각들이다. 그리고 문제와 관련된 섬세한 사항까지 아주 명확하게 보인다.
■ 꿈속에서 이루어지는 위대한 발견 : 주어진 문제에 대하여 자나 깨나 깊이 몰입해서 생각 할 때, 그래서 그 문제를 푸는 의식적인 노력이 수면 중에도 연속 될 때 수면 상태의 활성화된 뇌가 활용되고 그 결과로 문제가 풀리는 것이다. 그리고 그 아이디어가 꿈에 나타나든지 혹은 낮에 한순간의 영감으로 떠오르는 것이다. 아이디어가 떠오른 순간은 우연처럼 느껴지지만 몰입적인 사고를 한 사람에게만 일어나는 필연적인 결과다.
■ 몰입적 사고에 의한 문제 해결 : 문제의 중심에 있는 사람은 문제를 정확히 읽어내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지만, 몰입적 사고에 익숙한 사람은 그 일 자체에 대한 지식은 부족할지라도 문제 해결에 한결 더 가깝게 다가갈 수 있다.
Chapter 4

■ 몰입의 징후 : 몰입 상태에서는 가만히 앉아서 주어진 문제에 집중만 해도 즐거움과 행복한 감정을 느낄 수 있다. 이런 색다른 경험은 행복을 추구하는 방법에 대한 근본적인 생각을 달리하게 만든다. 결국 행복을 느끼는 기능은 나에게 있고, 외부 자극은 단지 이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촉매에 불과하다. 내가 만일 행복을 느끼기 쉬운 상태로 이 기능들을 변화시킨다면 나는 보다 쉽게 행복을 느낄 수 있다는 얘기다. 그렇게 되면 내가 해야 할 일을 하면서도 지고의 행복을 느낄 수 있다.
■ 행복과 쾌감의 요체, 도파민 : 운동을 하면 기분이 좋아진다. 이는 근육에 있는 근긴장성 섬유가 뇌의 시상하부와 이어져 있어 이 근육이 자극을 받으면 도파민과 엔도르핀이 분비되기 때문이다. 운동을 하는 도중에 쾌감이나 행복감을 느끼는 것도 이 때문이다.
■ 희노애락을 결정하는 건 몸 : 몰입 체험을 통하여 경험한 것과 뇌 과학에서 이야기하는 것을 종합하면 보다 일반적인 결론에 도달한다. 희로애락의 감정과 행복 혹은 불행의 느낌은 내 몸 속에서 만들어진다는 것이다. 이런 감정은 외부 환경에도 영향을 받지만 내 몸속에 있는 시냅스가 어떤 형태로 형성되고 배선되고 있느냐에 중대한 영향을 받는다. 즉 내가 어떤 활동을 하느냐, 그리고 무엇을 생각하느냐에 따라 주어진 일에 대한 시냅스의 형성이 영향을 받고 그 결과 주어진 일에 대한 나의 감정이 변화한다.
■ 목표 설정이 의미를 만든다 : 축구 경기를 보더라도 어느 한 팀이 이기기를 바라는 목적지향이 있으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훨씬 더 의미가 커진다는 것이다. 이것은 목표를 명확하게 설정하면 목표지향 매커니즘에 의하여 시냅스 활성화가 증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신이 목표로 설정한 문제가 중요하다고 생각할수록, 또 그 문제를 반복해서 생각할수록 몰입하기가 쉬워진다.
■ 나폴레온 힐의 성공철학 : 성공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나폴레옹 힐의 성공철학은 그야말로 우리 몸의 목적지향 매커니즘을 최대한 활용한 것이고 현대의 뇌과학적인 관점에서 보아도 매우 설득력 있는 내용들을 담고 있다. 그는 ‘ 상상력’이야말로 잠재의식을 창조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라고 하였다. 즉 상상력으로 좋은 계획이라는 씨앗을 만들고 그것을 잠재의식이라는 발에 뿌린 후 신념이라는 물을 주면 새로운 창조가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 능동적인 몰입을 유도하는 죽음에의 통찰 : 죽음에 대한 통찰만큼 최선의 삶을 추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없다. 그래서일까, 몽테뉴는 “철학을 공부하는 것은 죽기를 공부하는 것”이라는 일갈을 남겼다. 오늘 하루, 나는 얼마나 가치 있는 시간을 보냈는가?
■ 죽음을 통해서 다시 읽는 삶의 의미 : 우리 인생은 죽음을 향해 질주한다. 결국 우리는 태어나자마자 죽기 시작한다. 이 숙명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가? 이 숙명적인 죽음에 대하여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죽음에 대하여 내가 저항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그러다가 중요한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Chapter 5

■ 오래도록 생각하면 결국에는 풀린다 : 문제를 처음 대했을 때 도무지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 모르고 난감하게 느껴지는 경우, 포기하지 않고 계속 생각하면 고도의 창의적인 두뇌가 활동을 시작한다. 그리고 자신의 두뇌 능력의 한계를 계속 사용하게 된다. 자신이 풀 수 없을 것 같은 문제를 풀려고 매달릴 때 비로소 자신의 두뇌가 최대로 가동되고 최대의 능력이 발휘되는 것이다. ‘진짜 천재’는 자기 스스로 생각해서 그 방법을 찾아낸 사람이다.
■ 창의성과 창의적 노력이란? : 자신이 해결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는 활동을 창의적인 노력으로 인정해 주어야 몇 번의 시행착오 끝에 창의적인 결과가 나오고 창의성이 발달한다. 즉 미지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 자체를 창의적인 활동으로 인정해주어야 창의성을 발달시킬 토양이 제공되는 것이다. 바로 이런 토양에서 아무도 해결하지 못한 문제를 해결하는 남다른 능력이 길러진다.
■ 유대인 교육의 특징
- 몸보다는 머리를 써서 살도록 가르친다
- 생각을 유도하기 위해 계속 질문한다.
- 유대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교육한다.
Chapter 6

■ 생각과 몰입이 최고의 경쟁력이다 : Think Hard의 패러다임에서는 보장되지 않은 미래의 행복을 위해 현실을 희생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를 행복하게 산다. 그 과정에서 일의 성과도 높아지고 자신의 능력도 빠른 속도로 증가한다. 미래의 행복을 담보로 현재를 저당 잡히는 것이 아니라 행복을 누리면서도 그 결과가 보다 확실한 미래의 성공을 보장하는 것이다.
■ 직장에서 몰입을 적용하는 방법 : 중대한 업무를 촉박하게 끝내야 하는 비상사태에서는 모든 것을 잊고 업무에 몰입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것이 바로 전형적으로 위기에 의해 경험하는 수동적인 몰입이다. 이런 수동적인 몰입은 스트레스를 동반하기 때문에 몰입에 대한 부정적인 인상을 갖게 되고 급한 상황이 아니면 몰입을 하려고 하지 않는다. 따라서 수동적인 몰입보다는 능동적인 몰입을 추구한느 것이 장기적으로도 유리하고 바람직하다. 능동적인 몰입을 하려면 무엇보다도 업무를 자율적으로 하는 습관부터 길러야 한다. 그런데 업무 수행에서 자율성을 주는 정도는 회사마다 다르고 상관마다 다르다. 또한 자율적으로 일했을 때의 성과는 개인마다 다르다. 자율이 지나치면 방종으로 흐르고 타율이 지나치면 수동적이 된다.
Chapter 7

■ 1단계 생각하기 연습 : 여기서 중요한 점은 문제를 푸는 것보다 20분간 생각하는 훈련을 하는 것임을 기억하자. 문제가 풀리지 않더라도 낙담하지 말고 20분간 문제를 풀기 위해 생각하는 연습을 많이 하면 된다. 그러는 동안에 자신의 사고력과 몰입하기 위한 기초 체력이 단련되는 것이다.
■ 2단계 : 천천히 생각하기 : 바쁜 일상에서 천천히 생각하기를 실천하기 가장 쉬운 때가 밤에 잠자리에 들 때이다. 잠자리에 기분 좋게 편안하게 누워서 자신이 해결하려고 하는 문제를 천천히 생각하다가 잠이 들면 된다. 아침에 잠에서 깰 때도 천천히 생각하기를 실천하게에 좋다. 잠은 깻는데 일어나기에는 아직 이른 시간일 때 누운 채로 생각하는데, 이 상태는 선잠 상태와 거의 비슷하다.
■ 3단계 : 최상의 컨디션 유지 : 몰입적인 사고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잠재능력을 최대로 발휘하고 의미있는 인생을 살고자 하는 굳은 의지와 삶에 대한 자신감이 있어야 한다. 몰입적인 사고는 눈에 보이는 좋은 경과가 당장 나오기보다는 자신의 사고력과 창의성, 일을 즐길 수 있는 인프라를 갖추는 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함으로써 사고의 질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삶에 대한 자신감이 생겨서 보다 높은 뜻을 품고 자신의 능력을 최대로 발휘하는 몰입적인 사고를 실천하게 된다.
■ 4단계 : 두뇌 활동의 극대화 : 몰입적 사고를 하려면 열심히 생각하기(think hard)를 실천하되 천천히 생각하기(slow thinkng)의 방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천천히 생각하기의 방법으로 계속 생각하면(keep thinking), 깊은 생각(deep thinking)으로 바뀌고 여기서 계속 나아가 몰입도가 올라가면 생각하는 재미(fun thinking)를 경험하게 된다.
■ 5단계 : 가치관의 변화 : 사람은 자신이 하는 일이 세상에서 가장 중요하다는 믿음이 있어야 자신을 송두리째 던져서 그 문제에 몰입하게 된다. 이렇게 자신이 하는 일이 세상에서 제일 중요하다는 믿음은 지극히 주관적인 것이지만, 자신의 능력을 최대로 발휘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가치관이다.
■ 소망하고 추구하는 것을 실현시키는 몰입적 사고 : 몰입은 그것을 가능하게 한다. 생각 자체는 눈에 보이지 않는 허상이지만 집중할수록 눈에 보이는 성과가 되어 나온다. 누구나 할 수 있는 생각을 자신만의 참신한 아이디어로 만드는 것은 이제 당신이 얼마나 몰입하느냐에 달려 있다. 생각하는 습관을 들이고 몰입에 이르는 단계를 하나씩 실천한다면 누구든 성공과 행복을 동시에 거머 쥘 수 있을 것이다.
.
.
.
.
.
.
"당신이 절실하게 추구하고 소망하는 목표를 위해 몰입할 준비가 되셨나요?"
'국내작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습관부터 바꿔라 」-전옥표 (0) | 2020.06.16 |
---|---|
「 멀리 가려면 함께가라 」- 이종선 (0) | 2020.06.12 |
「 프레임 - 나를 바꾸는 심리학의 지혜 」- 최인철 (0) | 2020.06.10 |
「데이터 읽기의 기술」- 차현나 (0) | 2020.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