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후쿠마라마사히로
- 독서
- 북리딩
- 비즈니스 책추천
- 자기개발도서
- 동네책방
- 심리학으로팔아라
- 책속문장
- 책서평
- 하버드의생각수업
- 엘리자베스쿼블러로스
- 책후기
- 책속한문장
- 책추천
- 성공도서
- 책읽는남자
- 책속의한줄
- 책리뷰
- 책소개
- 북추천
- 습관부터바꿔라
- 책글귀
- 책감상평
- 책독후감
- 모델 책추천
- 책읽읍시다
- 도서추천
- 책읽기
- 책읽어주는남자
- 책읽어드립니다
- Today
- Total
black_kunta' 책이야기
「 제로 투 원 (Zero to One) 」- 피터 틸 (Peter Thiel) 본문
Intro
익히 들어왔던 이야기 중에 "세상에 창조는 없고 발견만 있을 뿐이다" 라는 이야기를 많이 들어왔다.
이 책은 창조라는 단어가 참 많이 나오는 것다.
그만큼 0에서 1로 가는 길에 있어서 세상 사람들이 하지 못했던 일들을 비즈니스로 만들어내는 일을 뜻하는 것 같다.
그럼 세상 사람들이 하지 못했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이 대답은 사람들마다 관심사에 따라 명확하게 달라질 것이다.
창조는 아니지만, 개인적인 생각에는 사람들의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는 그 무엇이 있다면 그것이 비즈니스의 아이템이라 생각하고, 창조까지는 아닐지 몰라도 성공을 한다면 누군가는 창조라고 부르겠지.....
불편함, 불안함, 힘듦의 구조의 맥락은 비슷한 프로세스를 가지고 있는 것 같다.
이 프로세스에서 해결책을 명쾌하게 혹은 논리적인 감성적 시점에서 해결한다면 비즈니스에 있어 대단한 기획이라 할 수 있겠다.
난 이 비즈니스의 기획에 대해서 페이팔의 창업자인 피터 틸 이 사람의 생각이 궁금해 이 책을 Pick 했다.
' 제로 투 원' 작가 소개
실리콘밸리를 움직이는 파워그룹 ‘페이팔 마피아’의 대부. 손꼽히는 스타트업 성공 사업가이자 벤처캐피탈 투자자이다. 스탠퍼드대학교에서 철학을 전공하고, 스탠퍼드 로스쿨을 졸업했다. 1998년 전자결제시스템회사 페이팔(PayPal)을 설립해 CEO로서 회사를 이끌었으며, 2002년 페이팔을 상장시켜 빠르고 안전한 온라인 상거래 시대를 열었다. 2004년 그는 첫 외부 투자로서 페이스북에 투자했고 페이스북 이사로 활동했다.
같은 해 소프트웨어 회사 팰런티어 테크놀로지(Palantir Technologies)를 출범시켰다. 팰런티어는 컴퓨터를 활용해 국가 안보 및 글로벌 금융 등의 분야에서 애널리스트들을 돕고 있다. 틸은 또한 링크트인(LinkedIn)과 옐프(Yelp)를 비롯한 수십 개의 성공적 기술 스타트업에 초기 투자자로 참여했다.
이들 기업 중 다수는 ‘페이팔 마피아’라는 별명이 붙은 전직 동료들이 운영하고 있다. 페이팔 마피아는 페이팔 멤버들이 실리콘밸리를 움직이는 파워그룹으로 성장하면서 붙여진 이름이다. 피터 틸은 실리콘밸리의 벤처캐피털 회사 파운더스펀드(Founders Fund)의 파트너이기도 하다. 파운더스펀드는 스페이스엑스(SpaceX) 및 에어비엔비(Airbnb), 옐프(Yelp) 등 페이팔 마피아 멤버들이 창업한 회사 및 실리콘밸리 스타트업에 투자하고 있는데, 이런 점이 틸을 페이팔 마피아의 대부라 불리게 한다.
그는 젊은이들에게 학교 교육보다 학습을 우선하라고 권함으로써 전국적 논쟁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틸 장학금(Thiel Fellowship)을 만들어 장학생으로 선정된 학생에게 대학교를 중퇴하고 창업하는 조건으로 10만 달러를 지원하기 때문이다. 그가 이끌고 있는 틸 재단(Thiel Foundation) 역시 기술 진보와 미래에 대한 장기적 생각을 촉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실리콘밸리를 움직이는 파워그룹 ‘페이팔 마피아’의 대부. 손꼽히는 스타트업 성공 사업가이자 벤처캐피탈 투자자이다. 스탠퍼드대학교에서 철학을 전공하고, 스탠퍼드 로스쿨을 졸업했다. 1998년 전자결제시스템회사 페이팔(PayPal)을 설립해 CEO로서 회사를 이끌었으며, 2002년 페이팔을 상장시켜 빠르고 안전한 온라인 상거래 시대를 열었다. 2004년 그는 첫 외부 투자로서 페이스북에 투자했고 페이스북 이사로 활동했다.
' 제로 투 원' Chapter 1
■ 미래가 현재와 뚜렷이 구별되는 중요한 이유는 아직 일어나지 않는 순간이라서가 아니다? 미래가 중요한 것은 그때가 되면 세상이 지금 우리가 보는 세상과는 다를 것이기 때문이다. 두 가지 사실은 확실하다? 미래는 지금과 다를 것. 그래도 미래의 뿌리는 현재의 세상.
■ 사람들이 통념과 반대되는 의견이라고 말하는 답들은 대부분 현재를 바라보는 시각의 차이를 드러낸다.
■ 신생기업이란 지금과는 다른 미래를 만들기 위한 당신의 계획을 납득시킬 수 있는 최대치의 사람들. 신생기업이 가진 강점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새로운 생각’. 새로운 생각은 ‘민첩함’보다도 더 중요하다. 그리고 규모가 작아야 생각할 공간이 생긴다.
' 제로 투 원' Chapter 2
■ 통념에 반하는 견해에 곧장 답을 하기란 쉽지 않다. ‘남들이 동의하는 것은 무엇인가?’ 니체는 “광기에 빠진 개인은 흔치 않다. 그러나 집단, 당파, 국가, 시대로 가면 광기가 곧 지배한다”라고. 흔히들 잘못된 믿음을 찾아낼 수 있다면 반대로 그 뒤에 숨겨진, 통념과는 다른 진실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 사소한 것에 매달리는 것보다는 대담하게 위험을 감수하는 편이 낫다. 나쁜 계획도 계획이 아예 없는 것보다는 낫다
경쟁이 심한 시장은 이윤을 파괴한다. 판매 역시 제품만큼이나 중요하다.
■ 진정으로 남들과 다른 사람은 다수에게 반대하는 사람이 아니라 스스로 생각하는 사람이다.
' 제로 투 원 ' Chapter 3
■ 경쟁 시장에서 모든 회사는 차별화되지 않는 똑같은 제품을 판매. 시장 지배력을 가진 회사가 없기 때문에 모두 시장이 정해주는 가격에 팔 수밖에 없다. 아직도 수익성이 남아 있다면 새로운 회사가 시장에 진입, 공급량은 늘리고 가격을 끌어내림으로써 당초 시장에 발을 들이게 만들었던 바로 그 이윤을 제거할 것이다. 장기적으로 봤을 때, 완전경쟁 하에서는 ‘그 어느 회사도 경제적 이윤을 창출할 수 없다.
■ 독점기업이 거짓말하는 이유? 독점 사실을 숨기기 위해, 경쟁자의 힘을 과장. 경쟁기업의 거짓말은 정반대? “우리는 이쪽을 꽉 잡고 있어요”. 경쟁의 크기를 축소해서 말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이 점이야말로 신생기업이 저지를 수 있는 가장 큰 실수다. 자신이 속한 시장을 극도로 좁게 묘사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시장 지배자가 되고 싶은 치명적인 유혹을 느낀다.
■ 독점기업은 경쟁을 걱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자신의 직원들이나 제품에 더욱 정성을 쏟을 수 있다.
‘사악해지지 말자’는 브랜드는 전략의 일부이기도 하지만, 생존의 위협을 받지 않고도 윤리 문제를 진지하게 고려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성공한 기업들이 누리는 특권이기도 하다.
■ 사업에서 ‘돈은 중요한 것이거나 아니면 모든 것이다.’ 독점기업들은 돈 외에 다른 것도 생각할 수 있는 여유가 있지만, 독점이 아닌 기업들에겐 그런 여유가 없다…기업이 매일매일의 치열한 생존경쟁을 초월할 수 있는 방법은 단 한 가지 뿐이다. ‘독점 이윤’ 말이다.
' 제로 투 원 ' Chapter 4
■ 경쟁이란, 아무도 이윤을 얻지 못하고 의미 있게 차별화 되는 부분도 없이 생존을 위해 싸우는 것이다. 그렇다면 왜 사람들은 경쟁이 건강하다고 믿는 걸까? 강박관념, 즉 이데올로기 때문이다!
■ 우리는 경쟁을 설파하고, 경쟁은 필요한것이라고 뼛속 깊이 새기며, 경쟁이 요구하는것 들을 실천한다. 그리고 그 결과로 경쟁 속에 갇힌다. 경쟁을 더 많이 할수록 우리가 얻는 것은 오히려 줄어든다.
■ 교육 시스템은 경쟁에 대한 우리의 집착을 반영하는 동시에 부추기고 있다. 성적이라는 것 자체가 각 학생의 경쟁력을 정확히 측정하는 도구다. 각 학생의 재능이나 의사와는 상관없이 모든 학생들에게 똑같은 과목을 거의 똑같은 방식으로 가르친다. 그 결과 책상에 가만히 앉아 있는 것이 맞지 않는 학생들은 열등하다는 기분을 느껴야 하는 반면, 시험이나 과제와 같은 전형적인 측정 방식에 뛰어난 학생들은 이토록 작위적으로 구성된 현실을 기준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정의하게 된다. 희한하게도 학교의 이런 현실은 바깥세상의 현실과도 비슷하다.
' 제로 투 원 ' Chapter 5
■ 미래를 명확한 것으로 생각한다면 흔들림 없는 확신이 있을 것이다. 확신이 있는 사람은 평범한 것들을 이것저젓 쫓으면서 ‘다방면에 소질이 있다’고 말하지 않고, 가장 하고 싶은 것 하나를 정해서 그 일을 한다. 남과 구별되지 않는 사람이 되려고 부단히 노력하는 게 아니라, 뭔가 실질적인 것에서 뛰어난 사람이 되려고 노력한다. 즉, 한 가지를 독점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다.
■ 요즘 젊은이들이 이렇게 하지 않는 이유는 주변의 모든 사람이 명확한 세상에 대한 믿음을 잃은 지 오래이기 때문이다. 불명확한 금융. 똑똑한 대학 졸업생들이 로스쿨에 가지 않으면 월스트리트로 향하는 이유도 커리어에 대한 제대로 된 계획이 없기 때문. 그렇게 골드만삭스에 들어가게 되면, 심지어 금융 ‘내부’에서도 모든 게 불명확하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 제로 투 원 ' Chapter 6
■ ‘무엇을 하는지’가 중요하다. 우리는 한 눈 팔지 않고 오로지 ‘잘하는것’에 집중해야한다. 다만 그 전에 반드시 그 일이 미래에 가치있는 일이 될 것인지를 먼저 치열하게 고민해봐야한다.
■ 정확한 의사 결정을 방해하는, 거듭제곱법칙을 부정하는 세상은 신뢰해서는 안 된다. 가장 중요한 것들은 눈에 띄는 경우가 거의 없고, 심지어 숨어 있기까지 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거듭제곱법칙을 따르는 세상이라면, 당신이 내린 결정이 앞으로 그래프 상의 어느 점을 이루게 될지 치열하게 고민해야만 한다.
' 제로 투 원 ' Chapter 7
■ ‘정말 중요한 진실인데 남들이 당신한테 동의해주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누구나 생각할 수 있지만 아무도 미처 발견하지 못한 숨겨진 비밀을 발견할 때 위대한 기업이 만들어질 수 있다.
■ 숨겨진 비밀을 믿고 그것을 찾아다니는 것만으로고 우리는 보편화된 관습을 넘어 뻔히 보이는 곳에 숨어 있는 기회들을 볼 수 있다…페이스북…너무나 간단해 보이는 것을 다시 생각할 수 있는 통찰력만으로도 중요하고 가치 있는 기업을 세울 수 있다면 세상에는 아직도 세울 수 있는 훌륭한 회사들이 많이 남아 있다.
' 제로 투 원 ' Chapter 8
■ ‘회사 내의 모든 사람은 같은 식으로 달라야 한다’ 외부에서 봤을 때 신생기업의 직원들은 즉시 구분하게 해 주는 것이 브랜드가 박힌 티셔츠나 후드티들이다.
■ 한 명당 한 가지 책임. ‘내부적으로 각 개인은 업무에 의해 확연히 구분되어야 한다’ 경쟁을 제거하면 모든 사람이 단순한 직업 관계를 넘어 장기적인 관계를 형성하기 쉬워진다. 게다가 신생기업은 내부 관계가 평화롭지 않으면 아예 살아남을 수가 없다.
■ 광신집단(cults)이 돼라. 가장 열렬한 조직에서는 구성원들이 오직 소속 구성원들과만 어울린다. 가족도 무시하도 바깥세상을 저버린다.
' 제로 투 원 ' Chapter 9
■ 세일즈는 어디서나 볼 수 있지만 사람들은 그 중요성을 과소평가한다. 괴짜들은 투명한 것에 익숙하다. 사람들은 과학이나 공학의 상대적 어려움을 과대평가한다. 왜냐하면 이들 분야의 난관은 눈에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세일즈는 정반대다.